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25)
구 주 산 제 2 일 (시모노세키 - 구주산행 1) 큐수 구주연산(九重連山) : 일본 오이타(大分)현 구스군(玖珠郡) 구쥬쵸(九重町)로부터 다케타시(竹田市)북부에 걸쳐 이어지는 화산군의 총칭으로 최고봉은 나카다케(中岳)로 표고 1791m이다. 일대는 아소쿠쥬(阿蘇くじゅう)국립공원에 지정되어 있으며 구주산(九重山)은 일본 100대 명산에..
구 주 산 제 4 일 (시모노세키 - 부산/태종대 - 자갈치시장 )
구 주 산 제 3일 (벳부/가마소 지옥) ( ( (
구 주 산 제 3 일 (아소분화구 - 유후인 기린코 호수) ▼ 호텔 프런트에서 식사하기 전... ▼ 호텔식당은 뷔페식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나 일본에서도 시골에 속하는 지역이라 그런지 모든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식사하는데 무척이나 고생했다. ▼ 나의 아침 메뉴!! 감자 으깬것과 밥 달랑 한덩이(이것도 다 먹지 멋했으니.....) ▼ 아소산분화구로 이동중 만..
구 주 산 2 (구주산행 2 - 호텔숙박) 아소 카도만 호텔 : 5인 1실
구 주 산 2 (구주산행 1)
구 주 산 제1 일 (서울역 - 부산 - 시모노세키) 전체일정 : 2009년 6월 4일 ~ 2009년 6월 7일 세부일정 : 6월 4일 서울 - 부산국제여객터미널 : 부관훼리 승선 6월 5일 시모노세키 - 구주산행 6월 6일 아소산 분화구 - 유후인 기린코 호수 - 뱃부 카마도지옥 - 시모노세키항 : 부관훼리 승선 6월 7일 부산 태종대 - 자갈치 시장 중식후 귀경 < 제 1일 > 서울 - ..
백두산 트레킹 제 5 일(단동의 압록강변 그리고 귀국) 압록강 수계의 섬들은1962년 조중국경변계조약을 통해 국경을 확정 했다. 이 조약을 통해 압록강 전체의 섬205개 중127개가 북한, 78개가 중국 쪽에 귀속된다. 특이할 만 한 점은 하류에 있는 대부분의 큰 섬은 다 북한의 영토이고 면적으로 보면94.8%가 북한의 영토로 있다는 것이다. 백두산 ..
백두산 트레킹 제 4 일(국내성 - 단동) 단동은 신의주를 마주한 국경도시로 압록강 하구에 있다. 북한과의 연결다리가 중조우의교(中朝友谊橋)다. 이 다리는 두 개인데 한쪽 다리는 6.25전쟁 때 폭격에 맞아 끊어진 채로 있으며 강 건너편으로 신의주가 보인다. 단동은 안동(安東)이라 불리던 작은 시골마을 이었다. 그런데 2..
국 망 봉 산행지 : 국망봉(경기도 포천군) 산행일 : 2011. 1. 23 산행코스 : 등산로표지판 - 견치봉삼거리 - 국망봉 - 신로봉前 안부삼거리 - 삼형제폭포 - 자연휴양림 - 생수공장 정문 산행시간 : 5시간 55분 (시작 09 : 05분, 종료 : 15 : 00) 주요구간별 소요시간 : 09:05분 국망봉 등산로 안내판 09:13분 들머리 진입 09:48분 2...
백두산 트레킹 제 3 일(송강하 - 이도백하 - 국내성) 제 3일 일정 백두산 북파 산문 - 송강하(버스이동) - 이도백하(열차이동) - 집안(광개통대왕릉 및 국내성 관광) - 단동시(버스이동) 백두산 트레킹을 마치고 머문 호텔은 한방에 4명씩 잠을 자는 등 열악했다. 백두산의 온천 또한 열악하여 야외 노천은 남녀 칸을 합판 간은 것으로 막아 놓았느데 구명이 ..
백두산 트레킹 제 2 일 (백두산 산행기 2) 백두산 산문 입구부터 자작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나무 크기가 흔히 듣던 백두산 원시림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물어보니 1980년대 후반 동해쪽에서 올라온 태풍에 대부분의 큰 나무들이 피해를 입었단다. 지금의 나무들은 그 이후에 다시 자란 나무들로, 1980년대의 원시림..
남덕유산 - 산행일 : 2010. 1. 16 - 산행지 : 남덕유산 - 산행코스 : 영각사 - 남덕유 - 서봉 - 육십령갈림길 - 남덕유교육원(원점회귀) - 산행거리 : 8.8km(접근, 탈출로 제외) 지킴터 ~ 남덕유 3.4km 남덕유 ~ 육십령갈림길 3.6km 육십령갈림길 ~ 교육원 1.8km - 행사단체 : 까치산악회 (참석인원 : 15명) - 특이사항 : 10년 만의 강..
백두산 트레킹 제 2 일 (백두산 산행기 1.) 백 두 산 산 행 기 산행일 : 07년 8월 3일(흐림, 비 가끔) 산행시간 : 9시간 33분 참석자 : 백동회 소속 : 김 연순, 김 옥련, 김 종대, 안 영선, 김 용식, 박 정남 임 일택님 부부, 김 창주, 두 점민 (10명) 비 백동회 소속 : 의사팀 4명, 대구팀 4명, 삼성가족 3명, 기러기관광 송 인술 팀장, 관광가이드(화교) 1명, 중..
백두대간의 환경실태 백두대간의 환경실태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중심이 되는 산줄기로서 생태적, 환경적 가치 또한 각별합니다. 남한지역 670km의 백두대간 구간에는 국립공원 7개소를 비롯해 도립공원 2개소가 있고,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2개소를 비롯해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3개소와 주요 천연보호림 등이 망라되어 있습..
백두대간의 의미 ***백두대간의 의미***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 장군봉에서 지리산 천왕봉에 이르는 길이 1,400㎞(남한지역 670㎞)의 산줄기이다. 이미 존재해 오던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개념이 1800년 무렵에 등장한 '산경표' (山徑表 - 저자를 여암 신경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시기와 저자에 대한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