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017 정유년

곰배령 2017. 6. 24


산행지 : 곰배령 (고도 1,164M)

(위치)   강원도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산행일 : 2017. 6. 24

행사단체 : 경기동부상공회의소 산악회

산행거리 : 10.69km/트랭글 측정거리

산행시간 : 4시간 11(시작 10:56, 종료 15:07) - 휴식시간 53

실 산행시간 : 3시간 18

평균속도 : 3.1km

날 씨 흐 림

 

주요구간별 소요시간 :  07:40분 남양주시청 출발

                               10:45 진동리 곰배령 입구 주차장

           

10:58분 점봉산 생태관리쎈타 입구 

11:11분 입산허가증 수령 후 산행시작(줄서기 12)

11:41분 강선마을(휴식 6)

11:48분 감시초소 (첫 번째 다리)/입산허가증 확인

11:53분 제 1 쉼터(쉼터명은 없으나 내가 지정함) 휴식 7

12:22분 두 번째 다리

12:40분 세 번째 다리

12:56분 곰배령(휴식 30)

 

13:49분 전망대

13:58분 주목군락지

14:18분 철쭉군락지

15:05분 점봉산 생태관리쎈타

15:07분 주차장(원점회귀)

 

 

산행내용 :

오랜만에 상공회의소 산악회에 산행에 참석하였다.

산행지는 곰배령으로 이곳은 한 겨울에 눈에 푹푹 빠지면서 진동리 ~ 곰배령 ~ 작은 점봉산 ~ 점봉산 ~ 단목령 ~ 진동리로 돌아오는 산행을 하였었는데 그 이후 약 15년 만에 다시 찾게 되었는데 오늘은 아내도 함께 하였다. 예상보다 참석인원이 많아 오늘은 버스 2대가 동원되었는데 에전에 까치산악회 버스를 운행했던 박 진우 기사의 차를 이용하게 되었는데 오랜만에 만나는 얼굴이 되었다.

 

  한편, 이곳 곰배령은 휘귀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 출입통제 되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사전예약제를 실시하여

제한된 탐방인원(하루 300) 만이 찾을 수 있다. 예약은 매달 20일에 다음 날 예약이 시작되는데 북부 산림청 산하 점봉산 생태관리센터(http://supannae.forest.go.kr)에서 신청을 받는다. 그리고 인근 민박집에 투숙객 중에 300명을 더하여 하루 600명이 곰배령을 만날 수 있다.

 

그러니 곰배령을 만나려면 진동리 인근 펜션에서 하루 묶던가 아니면 인터넷으로 예약을 해야 하나, 인터넷 예약은 동반자까지 2명으로 제한되어 있어 단체산악회의 경우 불가능에 가까우나 우리는 곰배령 산행을 전문으로 하는 여행사의 도움을 받아 오늘 산행이 이루어 졌다. 여행사를 통하면 제한된 인원외로 더 출입이 가능한 것인지 알 수가 없는 노릇이다. 내가 주차장에서 본 단체산악회 버스만 10여대가 넘었었는데 차 한 대당 30명만 참석했다 해도 하루 허가 인원의 50%. 아마도 여행사와 탐방쎈타 간에 모종의 합의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아하기만 하다.



<곰배령 등산지도와 트랭글 궤적>



    

 

곰배령을 만나기 위해서는 우선 입산허가증을 받아야 했기에

주차장 바로 앞에 있는  점봉산 생태관리쎈타 앞에서 12분간 줄지어 서서 대기해야 했다.

 대기중 관리직원의 안내멘트는 반 공갈식이다.

 강선마을을 11시까지 통과해야 하고,

 이곳에 4시까지 도착해야 한단다.

음주를 하면 벌금 10만원, 출입통제선을 넘어가면 10만원...


그런 반공갈식 안내멘트를 듣고 신분증을 제출하자 예약자 명단과 일일이 대조한 후 

 출입허가 패찰를 받고 등로를 따라 걷는데 워낙 인파가 많아 빨리 걸을 수가 없다.















좌측의 계곡과 평행선으로 조성된 등로는 평탄하게 잘 조성되어 있으니 산책하는 분위기인데

잠시 후 계곡의 바위사이로 마치 폭포처럼 흐르는 물소리가 시원하기만 하였다.

논바닥이 갈라지고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 물고기가 떼죽음을 이어가고,

계곡에는 물기가 없어 먼지만 풀풀 나고 있는 요즘 시기에

오랜만에 들리는 물소리는 반갑기만 하였다.









이어지는 강선이 계곡길에서 마치 솜이불의 솜털 같은 모양새를 한 야샹화를 만나고,

 강선마을 주민이 몰고가는 사발이를 바라 보며 강선마을에 도착한다.

 

강선마을은 완전 상업화 되어 카페, 주점으로 모두 변모하였는데

 많은 인파로 매우 번잡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니

이곳저곳 둘러 볼 엄두도 못내고 슈퍼와 주막집을 겸하고 있는 곳에서 생리현상만을 해결하고 말았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잠시 길을 걷자 나무로 만든 다리가 등장하는데 예전에는 돌다리였었을 것이고

그 다리를 건너자

감시초소가 있었는데 여기서 입산허가증을 일일이 검사하고 있었다.




등로 양쪽으로는 출입제한 로프가 설치되어 있었고

완만한 오르막을 한번 오르자

쉼터가 등장하였는데 앞서간 일행들이 간식을 먹으며 다리 쉼을 하고 있다.













이어지는 등로는 완만하게 오름길을 보여 주면서 목교를 2번 지나게 되는데

좌우로는 인간들의 발길이 닿지 않은 깨끗한 자연의 숨결을 느낄 수 있었다.


솜이불의 솜털같은 모양새의 꽃을 만나게 되었는데 아무도 이 꽃의 이름을 모른다.

하산 후 관리쎈타 직원에게도 물어 보았으나 거기서도 비답을 받지 못했다.

 

또다른 하나 푸른 꽃을 만났으나 그 녀석 이름도 알길이 없었다.

원래 꽃에 대하여는 아는 바도 없고 관심도 없었으니 포기하고

 완만한 오름길을 뚜벅두벅 오르다 보니

시원하게 밝아지며 곰배령 초지가 눈앞에 들어오고 작은 점봉산이 올려다 보인다.













곰배령 정상석은 작은 점봉산을 배경으로 산객들에게 인증샷 장소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길게 줄을 지어 차례를 기다려 인증샷 대열에 동참했다.

여늬산 같으면 지나치고 말았을 터인데 15년만에 만나는 이곳 아니던가.

그리고 작은 점봉산을 거쳐 한계령까지 내달리고픈 마음을 접어야 했다.


















작은 공터에서 일행들과 간식을 나누고 하산을 하는데 일행들은 모두 올랐던 길로 되돌아 내려갔지만

나홀로 하산로 이정표를 따라 1175봉을 거쳐 한 바퀴 휘돌아 내려가는 등로를 택했다.

 

급경사를 한번 오르자 전망대가 등장한다.

그 전망대에서 점봉산과 오대산이 조망되는데 설악은 연무에 그 모습을 감추고 보이지 않는다.

















관리소 직원의 설명에 의하면 이 하산로는 오름길보다 거리로 약 400m 정도 길다하였지만

오름길을 4번 정도 올라야 했는데 2번은 급오르막 등로형태로 난이도가 높아

일행들과 시간을 맞추려면 급하게 걸어야 했다.


오랜만에 속도 있게 걸음을 옮기자니 숨이 턱에 차고 하산길임에도 땀이 줄줄흐른다.

주목군락지와 철쭉군락지를 거쳐 진행하다 보니

지도상 1175봉은 언제 지났는지 모르게 통과하고

내림길로 이어지는데 가끔 등장하는 완만한 오르막에서도 숨이 가쁘다.

 

앞선 이들을 하나, 둘 차례로 추월하는데

등로가 좁아 계속해서 앞선이들에게 길양보를 구걸해야 했다.








하산길 전체를 거의 뛰다시피 하면서도

이정표와 거리를 알려주는 나무말목을 확인해가며 진행하는데

이 등로는 오름길과는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산객들이 오름길로 되돌아 내려가고

 이곳으로는 극히 일부분의 산객들만이 이용을 하고 있어

인적도 드물고 그만큼 시각적으로 느끼는 등로의 형태도 틀리게 보인다.


멧돼지 집단서식지인지 그들이 파헤쳐 놓은 흔적이 등로 좌우 가리지 않고 계속 등장하는데

희얀하게도 등로는 깔끔하다.

 인간의 냄새가 등로에서도 나는 건지...??


한편, 언제쯤 오름길과 만나게 될 것인가??

계속 의문점을 갖고 내려가는데 합류지점이 나타나지를 않는다.
















관리쎈타가 1km 남았다는 나무 말목을 만나면서

 계곡 건너편으로 하산하는 인적을 만날 수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평탄해진 등로에서 서너번 너덜길을 만나게 되고 나무다리가 등장하는데

그 다리를 건너면 오름길과 만나고 곧바로 점봉산 관리쎈터가 나타나게 된다.

오름길로 올라서서 바라보니 우리 일행들 서너 분이 보여

 시간을 맞추어 왔음에 안도하면서 일행들과 합류를 하였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뒷풀이 : 오늘의 뒷풀이가 특이했다.

폐교된 진동분교를 동네분들이 개조하여 임시식당을 운영하였는데 메뉴는 두부전골이였다.

페교된 학교를 이용하여 시골분 들의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매우 바람직한 변화라 할 수 있겠으나

두부를 비롯한 거의 모든 식재료를 자가생산한 것이 아니여 실망감이 들기도 하였다.

일손을 돕던 아주머니 말씀왈 도토리묵은 우리가 직접한 것이여요...














 



   


 

 





 



'◉ 2017 정유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보산, 2017. 8. 27  (0) 2017.08.30
감악산 2017. 8. 26  (0) 2017.08.28
청우산 2017. 6. 18  (0) 2017.06.20
황장산. 2017. 5. 21  (0) 2017.05.27
황금산 2017. 5. 7  (0) 2017.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