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의 의미***
백두대간(白頭大幹)은 백두산 장군봉에서 지리산 천왕봉에 이르는 길이 1,400㎞(남한지역 670㎞)의 산줄기이다. 이미 존재해 오던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리개념이 1800년 무렵에 등장한 '산경표' (山徑表 - 저자를 여암 신경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시기와 저자에 대한 확실한 결론이 나지 않았다)를 통하여 체계화되었다.
산경표에서는 우리나라의 큰 산줄기를 1대간 1정간 13정맥으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는데, 이중에서 근간이자 기둥이 되는 가장 커다란 산줄기가 바로 백두대간이다.
반면, 산맥도는 일제침략기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20세기 초, 일본 지질학자 고또분지로는 지하자원 수탈을 목적으로 14개월에 걸쳐 한반도의 지질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조사결과인 '한반도의 지질구조도'에서 산맥개념을 처음 제기하였다.
따라서 지질선에 입각한 산맥개념은 실제 지형과는 다른 것이다. 이때부터 산맥도가 원래 산줄기의 개념인 산경도를 대신하게 되었으며 백두대간이 사라진 자리를 태백산맥이 차지하게 되었다. 해방 후 수십 년이 지나는 동안에도 내내 잊혀졌던 백두대간이 몇몇 뜻있는 사람들의 노력에 의해 20세기 후반에야 비로소 다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백두대간의 가치***
(1) 민족의 상징으로서의 백두대간
'백두'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에서 따온 말이며, '대간'은 '정간', '정맥', '지맥'들에 비해 으뜸임을 나타내 주는 산줄기의 품계라고 할 수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을 뿌리로 하여 남으로 지리산까지 뻗어 이어지면서 1정간 13정맥을 비롯한 한반도의 모든 산줄기를 빚는 동시에, 북으로는 드넓은 대륙으로 힘차게 뻗어가고 있어 우리민족의 기상을 담고 있다. 이것이 일제의 '백두' 개념의 말살정책에 의해 태백산맥으로 격하되어 버렸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상징인 백두대간을 올바로 인식하는 것은 민족의 긍지를 회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문화적 특성을 구획하는 울타리로서의 백두대간
물줄기는 사람을 모으고 산줄기는 사람을 나눈다. 물줄기가 만들어 놓은 비옥한 평야는 사람들에게 거주지와 경작지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을 모여들게 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키워준다. 그러나 산줄기는 높고 험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접근을 힘들게 하며 문화적 이질성을 커지게 하는 경계역할을 한다. 실제로 속리산 문장대 용화온천 개발로 문제가 되었던 화북면 운흥리 중벌리의 경우 행정구역상으로는 경북 상주시에 속하지만 실질적 생활권은 충북 괴산군에 속한다. 이 지역이 충북과 마찬가지로 백두대간의 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남한의 백두대간은 크게 영남권과 호남권, 영남권과 기호권, 영동권과 영서권으로 나뉜다. 각각의 지역은 백두대간에 의해 오랫동안 언어, 풍습, 성격 등 서로 다른 특색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3) 생태계의 중심축으로서의 백두대간
산이 사람의 접근을 어렵게 하는 반면 생물들의 이동은 보다 원활하게 한다. 특히 사람을 피해 다녀야 하는 야생동물의 경우 생활권을 확보하는데 있어 산줄기는 매우 적합한 서식처로 된다. 또한 산 능선이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므로 야생 동 식물의 이동 및 개체군 확산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백두대간은 국토 최대(1,400㎞)의 생태통로(ECO-CORRIDOR)라 할 수 있다. 백두대간은 생물종 다양성의 공급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 564종 중 대부분이 서식하고 있으며 고도 및 기온차 등 지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백두대간에 뿌리를 둔 모든 산줄기가 전국에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국그린네트워크화 구상(환경부, 1994)에 있어서도 바로 백두대간이 생태 중심축으로 설정된다.
'◉ 백두대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덕유산구간 (0) | 2011.03.08 |
---|---|
[스크랩] 봉화산, 백운산구간 (0) | 2011.03.08 |
[스크랩] 고남산구간 (0) | 2011.03.08 |
[스크랩] 지리산 구간 (0) | 2011.03.08 |
백두대간의 환경실태 (0) | 2011.01.07 |